꿀팁 모음/생활정보
혈중 알코올 농도 계산 방법
초코코_
2024. 5. 20. 14:14
반응형
혈중 알코올 농도 계산
위드마크(Widmark) 공식으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, 우리나라에선 알코올 체내흡수량을 고려한 수정된 위드마크 공식을 사용한다.
C= A×0.7(체내흡수율)/10(P×R) - ßt
C = 혈중 알코올농도 최대치(%)
A = 섭취 알코올 양(g)
섭취 알코올 양(g) = 섭취량(ml) × 도수(%) × 0.7894(알코올 비중)
P = 체중(kg)
R = 성별 계수 (남 0.86 / 여 0.64)
ßt = 시간당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량(%)
* 시간당 알코올 분해 반응 속도 상수 ß는 평균으로 0.015%이지만,
우리나라에선 대법원 판례상 추산 시 0.03%, 역추산 시 0.008%를 적용한다.
예시) 80kg 남자가 소주 2병(720ml, 19도)을 마셨을 때 혈중 알코올 농도 계산
섭취 알코올 양 A = 720 × 0.19 × 0.7894 = 75.6g
혈중 알코올 농도 = (720ml × 0.19 × 0.7894) × 0.7 / 10 × (80kg × 0.86) =
= 75.6 / 688 = 0.109%
1시간 경과 시 혈중 알코올 농도 = 0.109% - 0.015 = 0.094%
5시간 경과시 혈중 알코올 농도 = 0.109% - 0.015 ×5 = 0.034%
0.109% - 0.015t = 0 일 때 t는 7.27이다. 개인차가 있지만 약 7시간 15분 정도 지나면 소주 2병으로 섭취한 알코올이 모두 분해되었다고 볼 수 있다. (계산상 그렇다는 거고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100% 분해되었다고 볼 수는 없음)
대략적인 시간 계산을 통해 운전 가능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다.
마무리
그냥 궁금해서 알아보았다. 실제 계산은 구글에 '혈중 알코올 농도 계산' 시 나오는 계산기를 사용하도록 하자.
반응형